반응형
Creep(크리프) 란?
콘크리트에 지속적으로 일정한 하중을 주어 응력의 변화가 없어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성 변형이 증가되는 현상

Creep(크리프)가 큰 경우
☞ 대기의 습도가 낮을수록
☞ 대기의 온도가 높을수록
☞ 부재 치수가 작을수록
☞ 재하 응력이 클수록
☞ 물 시멘트비가 클수록
☞ 단위시멘트량이 많을수록
☞ 공극이 많을수록
☞ 재령이 작을수록
☞ 조강 시멘트보다 보통 시멘트가
☞ 보통 콘크리트보다 인공 경량 골재 콘크리트가
Creep(크리프) 계수
크리프 계수 φ = 크리프 변형률 / 탄성 변형률
크리프 변형률 = 크리프 계수 × 탄성 변형률
최종 변형량 = 탄성 변형량 + 크리프 변형량
콘크리트의 건조 수축
공기중에서 콘크리트가 건조하면 수축을 하는데 이를 건조 수축이라고 한다
표면으로부터 내부로 향하여 건조하므로 표면에는 인장 응력이, 내부에는 압축응력이 일어난다.

건조수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
☞단위수량이 건조수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
콘크리트 건조수축이 큰 경우
☞단면 치수가 작을수록
☞분말도가 큰 시멘트일수록
☞흡수량이 많은 골재일수록
☞온도가 높을수록
☞습도가 낮을수록
☞시멘트량이 많은 경우
☞시멘트 화학성분 중 C₃A의 함유량이 많을수록
☞상온 습윤양생한 콘크리트가 증기양생한 콘크리트보다
반응형
'건축시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SS 콘크리트 수화열 대책 및 온도균열 발생원인 (0) | 2023.06.19 |
---|---|
굳지 않은 콘크리트 성질과 콘크리트의 내화성 (0) | 2023.04.20 |
강구조물 일반사항 및 시공전 체크리스트 (0) | 2023.01.16 |
지반조사 보링(Boring) 유의사항 (0) | 2022.12.08 |
지반조사 및 측량 설계도서 검토 (0) | 2022.12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