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건축시공

토공사 - 터파기 사전조사, 설계도서 검토

반응형

토공사, 사전조사, 설계검토

터파기

사전조사

- 지하 매설(상수도, 하수도, 매립가스관, 전선관, 송유관 등) 장애물 조사 및 지장물 조사

- 문화재 조사 보고서 확인, 공사 중 문화재 발견시 문화재 보호법에 따라 신고ㆍ보존 조치

- 공사로 인한 폐쇄되는 농업기반시설 등에 대한 대체시설 설치 검토

- 발파작업 진행 전 인근가옥 균열상태 등을 주민입회하에 사진, 비디오 촬영

- 설계대로 공사 시 다량의 암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단지조성 계획고 및 건물배치 변경

- 타 기관 지하시설물, 매설물의 이설, 방호, 대체 필요시 지하매설물 처리계획서 수립

- 이설 도는 방호에 필요한 공사는 단지 관련부서 및 지역본부에 통보하여 설계뼌경 등 대안 수립

- 현황 조사 후 각종 민원우려에 대비하여 공사 전 소음, 비산먼지 대책방안을 수립하여 주민분쟁 방지

 

설계도서 검토

- 설계도서의 대지평면도와 토공횡단도의 일치 체크

- 절,성토로 인한 지형변화 시 우수피해 발생, 단지 내 가배수로 설치 검토

- 단지 주변 개발로 인한 계획고 조정 필요구간, 옹벽 등 구조물 추가설치 검토

- 토공 운반거리 산출 및 지반조사보고서 검토

- 환경영향평가 협의 사항 및 유관기관 신고사항 파악

- 지형도 및 실측량 확인, 실측량 결과에 따른 토공 및 구조물을 파악하여 실토공 계획 수립

- 토사 이동계획, 선 시공구간 선정, 연약지반 보강, 장비조합 및 토사배분, 토량 확보 방안 등 종합적 시공계획 검토

- 지하구조물 간섭 및 역시공되지 않도록 공종간 협의 진행

- 인접구조물 근접터파기 시, 지하수위 저하 등으로 인한 전도, 침하 방지조치

 

사토장 선정

- 건축구조물 터파기공사와 관련있는 사토장의 확보를 위해 토목공종과 협의

- 운반,잔토처리 등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장인근으로 선정하고 토석정보공유시스템으로 토공 효율성 검토

- 건축 터파기 토량을 단지 내 적치가 불가능 할 경우 토목공종과 협의하여 사토장을 조기선정하고, 토량의 이동시점, 제거시점 등을 문서화 한다.

- 사토장은 토량변화율, 토질,암반변화에 의한 사토량 변화와 차량통행을 위해 반입되는 자갈 등의 토량도 고려하여 설계변경시 근거자료 확보

- 사토 운반로는 운반거리, 교통량,보도및 도로 폭 등을 종밯적으로 판단

- 사토장은 비산분진방지, 토사유출 방지, 침전지, 배수계획 등의 관리가 필요

구조물 터파기

구조물 터파기

일반사항

- 기계터파기는 굴삭기 표준 버켓폭 및 여유폭을 감안하여 최소 터파기 폭을 1m로 시공

- 파일기초 터파기는 항타기 접지폭 3.5m에 여유폭 1m를 가산한 4.5m를 최소 터파기 폭으로 설정

- 설계도서에 표시된 토질상태와 터파기 시 노출된 토질상태가 상이할 경우 적정한 기초형식을 검토한다.

- 토공 법면 구간에는 규준틀을 설치하여 기울기를 확인

- 터파기 구간의 토질분포상태 확인 및 측량을 실시

- 지하수 용출 시 배수 작업계획 수립 및 기초부터 최소1m이상 이격거리에 침사지를 계획

- 터파기 주변은 안전사고를 대비하여 조명, 경고신호, 보행자 횡단로 등을 확인

- 말뚝기초 터파기 시 토질상태와 천공 시 발생되는 배토량을 감안하여 터파기 레벨을 결정한다.

- 지반이 연약하여 항타 장비 진입이 어려운 경우 장비 진입을 위한 치환공사를 진행

- 매립폐기물 발생 시 폐기물분석 전문기관에 성분분석을 의뢰, 지정폐기물 여부를 확인

- 지정폐기물일 경우 폐기물처리지침에 따라 폐기물 처리

- 폐기물 혼입토일 경우 발생량에 따라 선별기 등의 선별로 건설폐기물 처리 및 되메우기토로 활용

 

인접구조물 안정성

- 벽체나 지지구조의 강성이 클수록 수평변위가 적으므로 강성이 큰 기초형식을 선정

- 지반은 크게 점성토와 사질토로 나뉘며 사질토보다는 점성토가 지반 변위량이 크다

- 사질토는 배수로 인한 침하량이 작더라도 짧은 시간에 변위되므로 구조물에 큰 영향이 있음

- 지하수위 저하로 인한 하중증가 효과가 있어 수위 저하조건, 차수벽 근입깊이, 하부 지반상태 고려 필요

- 인접 구조물의 노후상태, 침하, 부등침하, 구조물 기초형식 등을 고려한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