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건축품질

방수공사 품질관리 방법 방수공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. 누수의 3요소 물, 틈새, 압력차 방수의 종류 1. 시멘트액체방수 - 시멘트와 모르타르 그리고 방수제를 혼합하여 콘크리트 또는 조적면에 시멘트방수제를 도포, 침투시키고 방수제를 혼합한 모르타르로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 - 시멘트 액체방수 품질관리 기준 1) 방수층 공정 바탕면 정리 > 방수시멘트 페이스트 > 방수액 > 모르타르 시공 2) 방수모르타르 두께 기준 : 4mm 이상 - 1999년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이후 개정 시 두께 규정이 삭제되어 4mm 이상 시공하도록 변경 - 4mm를 기준으로 하는 이유는 부착강도 측정의 목적이 있음 - 두께에 대한 기준이 두께 관리방법에서 성능기준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변경 2. 시트방수 - 두께 3mm 이상의.. 더보기
콘크리트 거푸집 존치기간 및 초기강도 기준 콘크리트 초기강도 품질관리 1. 콘크리트 초기강도란? - 콘크리트 재령 3일 또는 7일의 초기 경화과정에서의 강도를 말한다. - 조기 건조수축이나 초기동해가 일어나지 않을 최소한의 강도를 말한다. - 초기 압축강도시험 5Mpa 이상이어야하며, 거푸집 해체 기준의 근거이다. 2. 초기 동해방지를 위한 초기강도 기준(미국) - 미국 콘크리트협회 : 2Mpa - 미국 포틀랜드 시멘트 협회 : 3.5Mpa 초기강도의 확인방법 1. 배합강도 확인 - 수중양생 공시체 압축파괴 시험으로 강도 확인 2. 양생강도 확인 - 기둥, 벽체 등의 실제 타설 부위와 동일한 조건하에 공시체를 제작하고 양생하여 압축강도 시험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. 3. 초기강도 발현 - 1일차 강도 : 20% - 2일차 강도 : 30% - 7일.. 더보기
레미콘 KS표준시방서 심사기준 개정 (KS F 4009) 레미콘 KS표준시방서 개정 1. 레미콘 시방기준이 2016년 이후 5년 만에 개정(2021년 2월 26일)되어 명칭이 바뀌거나 통폐합됨 2. 골재규격 개정 -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15mm에서 13mm로 변경하여 시방서 기준과 일치하도록 함 - 레미 종류, 슬럼프 허용오차 3. 배치플랜트 위조방지를 위한 문구 추가 - 시방기준 개정 후 : 생산설비 운영프로그램 수정 시 수정내역을 전자서명과 함께 기록관리 하도록 함 4. 재료계량 문구 수정 1) 개정 전 - 혼화제는 용액으로 사용한다. 2) 개정 후 - 액상 혼화제는 미리 계량하여 물과 혼합해도 좋다. 5. 개정된 레미콘 KS F 4009 심사기준 변경사항 1) 계량 오차검사 - 운반차에 적재된 재료별 계량결과가 각 재료별 계량 오차범위 이내여야 한다. -.. 더보기
레미콘 품질관리 강화 (골재채취법 개정) 1. 레미콘 품질관리 강화방안 1) 골재의 품질기준 강화 - 골재의 품질기준에 대해 기존 골재채취업자의 자체시험도 인정하였으나 강화된 기준으로는 공인된 시험기관에서 연 1회이상 직접 품질검사를 실시하는것으로 변경 - 골재의 용도별 품질기준 2. 제조업체 관리감독 강화 1) 레미콘 생산정보 이력관리 - 레미콘 제조공장에서 임의로 생산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위변조하는것을 방지한다. - 3000루베 이상의 건설공사에 레미콘을 납품하는 경우 배합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배합비 조작을 방지 2) 레미콘 자재공급원 전수점검 - 레미콘 제조공장이 승인된 원자재를 사용하고있는지, 입력된 배합비대로 레미콘이 생산되고 있는지 조사 및 점검을 진행한다. 3) 건설현장 품질관리 강화 - 레미콘 제조공장의 배합비 조작등의 위법행.. 더보기
철근콘크리트공사 미경화 콘크리트 배합설계 및 품질관리 미경화 콘크리트 배합설계 1. 콘크리트 배합과 강도 확보 요소 - 재료 : 물, 시멘트, 모래, 자갈, 공기량 - 배합비 : 40 ~ 60% - 시공 : 현장타설, 진동다짐, 존치기간 - 양생 : 초기 동해 관리 및 조기 건조수축 방지 2. 콘크리트 배합설계 개념과 재료구성 1) 배합설계의 개념 - 콘크리트 배합이란 시멘트, 물, 골재(모래, 자갈), 혼화재 등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생성하는 것 - 배합설계는 콘크리트 강도 확보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. 2) 배합설계 재료의 구성 - 공기 5%, 시멘트 10%, 물 15%, 골재(모래, 자갈) 70% - 콘크리트 배합비 : 골재 70% = 모래 30% + 자갈 40% 3. 콘크리트 배합의 종류와 방법 1) 배합설계방법 - 배합계산,.. 더보기
직접기초 평판재하 시험방법과 시험결과 정리방법 평판재하시험과 시험결과정리방법 평판재하시험 개요 - 직접기초 설계와 지내력검토를 위한 시험항목이다. - 강성의 재하판을 기초면에 놓고 하중을 가하여 하중과 변위와의 관계를 보고 지지력과 지반계수를 구한다. - 구조물 기초 지반의 지지력을 파악한 후 시공자료 및 설계 시 토질조사의 일부분으로 이용된다. - 재하판 지름의 1~2배 깊이에 대한 평가로 지반조사 결과와 종합하여 지지력을 평가해야 한다. 1. 극한지지력 -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지반의 최대저항력 2. 허용지지력 - 지반의 극한 지지력을 안전율로 나눈 값 평판재하 시험방법 시험기구 1. 재하대와 반력보 - 예상되는 총하중을 작용하는데 충분한 크기의 강도를 가진 재하대와 반력보, 설비강재빔, 앵커나 말뚝 2. 유압잭 - 440KN이상으로 예상하중.. 더보기
석재의 비중 및 흡수율시험(KSF2518)과 압축강도 시험방법 건설공사 품질관리 석재 품질시험 암석의 분류 1. 화성암 마그마가 응고하여 생긴 암석으로 강도가 크다. - 심성암 : 지하 깊은 곳에서 서서히 냉각된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 화강암과 섬록암이 있다. - 화산암 : 마그마가 지표에 분출되어 급격히 냉각된 것으로 현무암, 안산암, 유문암이 대표적이다. - 반심성암 : 심성암과 화산암의 중간에서 생성된 것으로 석영반암, 휘록암 등이 있다. 2. 퇴적암 지표면의 암석이 물, 바람, 빙하 등에 의해 깎이고, 침전퇴적한 암석으로 층리 현상이 있다. - 수성암 : 물에 의해 퇴적하여 생성된 것으로 사암, 점판암, 석회암, 응회암 등이 있다. - 풍성암 : 육상에서 바람의 작용으로 추적하여 생성된 것 - 퇴적물 : 자갈, 모래, 진흙, 석회질물질, 화산재 - 변성암 : .. 더보기
접착목재제품의 침지박리시험, 표면갈라짐 저항시험(KS F 2160, KS F 2161) 접착목재 제품의 침지박리시험(KS F 2160) 이 표준이 적용되는 접착목재제품은 목재집성판과 합판, 수장용 집성재, 수장용 단판적측재, 구조용 집성재 등을 포함한다. 접착목재제품의 침지박리 시험방법에서 규정한 것 이외는 목재의 시험방법 통칙(KS F 2201)에 적용한다. 침지박리란? 접착목재 제품이 물속에 침지되어 함수율이 증가했다가 다시 건조될 경우 제품의 접착층에 나타나는 박리현상 - 접착목재제품의 침지박리시험에 의해 측정한 값은 접착목재제품에 규정된 침지박리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. 접착목재 제품의 침지박리 시험의 종류 1. 침지박리시험 : 시험편을 상온에서 물속에 침지하여 건조한 후 박리시험 2. 내수 침지박리시험 : 시험편을 끓는 물에서 침지하여 건조한 후 박리시험 3. 준내수 침지박리시험 :..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