철근콘크리트공사 미경화 콘크리트 배합설계 및 품질관리
미경화 콘크리트 배합설계 1. 콘크리트 배합과 강도 확보 요소 - 재료 : 물, 시멘트, 모래, 자갈, 공기량 - 배합비 : 40 ~ 60% - 시공 : 현장타설, 진동다짐, 존치기간 - 양생 : 초기 동해 관리 및 조기 건조수축 방지 2. 콘크리트 배합설계 개념과 재료구성 1) 배합설계의 개념 - 콘크리트 배합이란 시멘트, 물, 골재(모래, 자갈), 혼화재 등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생성하는 것 - 배합설계는 콘크리트 강도 확보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. 2) 배합설계 재료의 구성 - 공기 5%, 시멘트 10%, 물 15%, 골재(모래, 자갈) 70% - 콘크리트 배합비 : 골재 70% = 모래 30% + 자갈 40% 3. 콘크리트 배합의 종류와 방법 1) 배합설계방법 - 배합계산,..
더보기
석재의 비중 및 흡수율시험(KSF2518)과 압축강도 시험방법
건설공사 품질관리 석재 품질시험 암석의 분류 1. 화성암 마그마가 응고하여 생긴 암석으로 강도가 크다. - 심성암 : 지하 깊은 곳에서 서서히 냉각된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 화강암과 섬록암이 있다. - 화산암 : 마그마가 지표에 분출되어 급격히 냉각된 것으로 현무암, 안산암, 유문암이 대표적이다. - 반심성암 : 심성암과 화산암의 중간에서 생성된 것으로 석영반암, 휘록암 등이 있다. 2. 퇴적암 지표면의 암석이 물, 바람, 빙하 등에 의해 깎이고, 침전퇴적한 암석으로 층리 현상이 있다. - 수성암 : 물에 의해 퇴적하여 생성된 것으로 사암, 점판암, 석회암, 응회암 등이 있다. - 풍성암 : 육상에서 바람의 작용으로 추적하여 생성된 것 - 퇴적물 : 자갈, 모래, 진흙, 석회질물질, 화산재 - 변성암 : ..
더보기